본문 바로가기
꼭 알아야할 시사

미국 증시 전망, 사상 최고치 경신

by 시사타임 2024. 1. 25.

미국증시 최고치 경신

1월 22일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 500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강세를 보였습니다.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 사상 최고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가 처음으로 3만8000을 넘어서며 올해 들어 세 번째 사상 최고치 기록했습니다. 미국의 대형 기술주들이 증시 상승을 주도하며, 다우지수를 끌어올린 것이 배경입니다. 

S&P500지수 역대 최고치

대형주 위주의 S&P500지수는 10.62포인트(0.22%) 상승한 4850.43으로 마감했으며, 최근 강세 지속되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의 강력한 실적이 증시를 끌어올린 것으로 판단됩니다.

나스닥지수도 상승세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9.32포인트(0.32%) 오른 1만5360.29에 폐장했습니다. 매그니피센트 7(애플, 알파벳, 아마존,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테슬라)이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증시 상승의 배경에는 일명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7·M7)’이라 불리는 대형 기술주 7인방이 있습니다. 애플·알파벳(구글 모회사)·아마존·메타·마이크로소프트·엔비디아·테슬라 등 M7은 테슬라를 제외하고 모든 종목이 새해 들어 거침없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미국 증시 전망

전문가들은 지난해 4분기의 강세장 재개 가능성과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주목했습니다. 최근 시장의 관심은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올해 상반기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인지 여부에 쏠려 있습니다. 

 

"이것은 거의 포모(FOMO·Fear of Missing Out, 소외되거나 뒤처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와 같다" 
"연초엔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하고 수익을 실현하면서 약간의 변동성이 있었지만,
지금은 지난해 4분기의 뚜렷한 강세장을 다시 시작하는 것 같다"
- 브라이언 프라이스 ( 먼웰스파이낸셜의  투자 관리 책임자) -

 

미국 기준금리 인하 임박?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은 오는 3월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약 46%로 보고 있습니다. 일주일 전 약 81%에 비해 급격히 줄어든 것입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일주일 전 약 19%에서 약 54%로 올랐습니다.

투자자들은 오는 25일 발표 예정인 미 4분기 국내총생산(GDP)과, 오는 26일 발표 예정인 12월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PCE) 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개인소비지출은 연준이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비트코인 ETF 승인과 전망, 가격하락?

미국의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최근 금융시장의 큰 관심사 중 하나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승인한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월가 데뷔입니다. 11개의 비트코인 현물 ETF가 지난 11

sisatimes.kr

 

한국 증시 부진

미국발 기술주 훈풍에도 한국 증시는 연초부터 좀처럼 기를 펴지 못하는 모양새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이 시들해지고 중국 경기 침체의 여파로 국내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된 영향이 큽니다. 정부가 최근 들어 공매도 전면 금지,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추진 등 증시 부양책을 잇달아 발표하고 있지만 증시가 힘을 내지 못하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도 여전합니다.

한국 증시 부진 원인

- 차익실현 우려: 새해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낮아지면서 차익실현 움직임 증가
- 기업 실적 부진: 국민주식인 삼성전자의 어닝쇼크와 이차전지 주식의 하락세
- 중국 경제의 영향: 중국 경제의 성장 둔화 우려와 반도체 기업의 중국 의존도
- 지정학적 긴장: 북한과의 긴장 상황도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

한국 증시 전망

전문가들은 현재의 부진한 상황이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렵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증시가 당분간 큰 상승세를 보이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 증시는 글로벌 경제 상황과 내부적인 요인들로 인해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신중한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 빌라 전세가율 하락 의미, 전망

서울 빌라 전세가율 하락 서울 지역의 빌라 전세가율이 기존 78.6%에서 68.5%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 12월 78.6%에서 1년 만에 10.1%포인트 하락) 이는 전세보증금을 떼일 위험이 있는 '

sisatimes.kr

 

반응형